[1주차] 개발일지 (1-2)
Spring을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JAVA의 기본 문법에 대하여 다루어 볼 것이다!
1. 변수 (Variable)
1)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.
2) 변수를 선언할 때는 "(자료의 종류) (변수명) = (값)" 의 순서를 따른다.
ex) String text01 = "Hello, Java!";
3) 변수명은 일반적으로 영어로 작성하고, 소문자로 시작해 대문자로 구분하는 '카멜 (Camel)' 기법을 준수하는 것이 약속
4) 다른 언어는 모르겠지만 불친절한 자바는 코드를 작성 한 후에 무.조.건 세미클론(;)으로 마무리 지어줘야 한다.
2. Data Type in JAVA
1) 숫자형: Int, Float, Long 이 세 가지가 가장 많이 쓰인다. Int < Float < Long 순으로 크기 비교가 가능하다. 자바의 기본형 데이터 타입
2) 문자형: Java에서는 String타입이 일반적이다. 참조형 데이터 타입
3) Boolean: True or False
4) 배열: 데이터를 묶을 때 List라는 놈을 사용한다.
- 순서가 매우매우 중요!
- 동일한 타입의 자료형만 넣을 수 있음
- 넣을 때는 add, 조회할 때는 get, 삭제할 때는 remove 메소드를 사용한다
3. Import
미리 작성된 코드를 현재 페이지에 불러오는 기능
- IntelliJ 환경에서는 Alt + Enter 단축키로 간단하게 불러올 수 있다. 이클립스는 아쉽게도..
4. Method
관계지향형 언어인 JAVA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기능이다.
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를 하나의 패키지로 담아서 사용함으로서 코드의 재사용율을 높여주는 강력한 기능!
public (반환타입) 메소드명(파라미터) { // 명령 내용 return (반환값) }
요런 식으로 쓸 수 있다.
파라미터와 반환값은 있을 수도 있고, 없을 수도 있습니다..
5. 반복문
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일일이 system.out.println() 메소드로 실행하는 것은 미친짓이다.
간단한 기법만으로 반복되는 문구를 구현할 수 있다.
변수 선언
for(int i=0 ; i<변수.length() ; 증감식){
}
요런식으로 쓰는 것을 for 반복문이라고 하고
while(true or false){
}
요런 식으로 쓰는 건 while 반복문이라고 한다.
6. Class
자바는 대표적인 객체지향형 언어이다.
객체란 부품 하나 하나를 지칭할 수 있고
클래스란 이 객체를 어떻게 쌓아올릴 것인지에 대한 일종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.
7. 접근제한자
그닥 민감하지 않은 데이터는 public~ 으로 코딩을 해주면 그만이지만
고객의 신상정보와 같은 데이터는 private~으로 접근을 제한해줘야 한다.
이 제한된 정보를 가져오고자 할 때는 getter, 수정하고자 할 때는 setter를 써서 접근한다.
8. Gradle
남들이 미리 만들어놓은 코드나 기능 등을 가져다가 쓸 수 있게 해주는 좋은 기능!
